질환백과
- 정의
- 옴은 개선충이라는 피부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'개선'이라고도 합니다. 
- 원인
- 옴은 대개 성관계로 전염되기 때문에 성병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또, 옴은 피부 접촉을 통하여 전염되므로, 성관계를 한 뒤 함께 잠을 자면 단순히 성관계만 한 것보다 전염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. 
- 증상
- 옴은 사람의 피부에 굴을 파고 피부 속에 들어갑니다. 밤이 되면 활동하기 때문에 낮에는 괜찮다가도 밤이 되어 자려고 누우면 무척 가렵습니다. 옴은 안면을 제외한 전신에 침범하기 때문에 전신이 가려울 수 있습니다. 특히, 사타구니 부위, 손가락 사이, 겨드랑이처럼 부드러운 피부에 붉은 점이 두 개씩 나란히 나 있기도 합니다. 보통 4~6주간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납니다. 가려움을 참지 못하여 환부를 긁으면 습진, 농가진 등을 유발하기 쉽습니다. 
- 진단
- ① 의심되는 부위를 긁어서 조직을 얻은 뒤, 현미경을 통하여 옴 진드기를 확인하여 진단합니다. - ② 굴잉크 검사(burrow ink test) 
 의심되는 부위를 잉크를 발라 문지른 다음, 알코올 솜으로 닦아냅니다. 옴에 감염되었다면 피부에 '지그재그' 모양의 선이 나타납니다. 기생충이 지나간 굴에 잉크가 스며들어 이러한 선이 보이게 됩니다.
- 치료
- 자기 전에 샤워나 목욕을 한 뒤, 1% 린덴 로션이나 크림을 가려움이나 병변이 있든 없든 목에서 발끝까지 전신에 골고루 바릅니다. 자고 난 후에는 샤워나 물수건으로 치료제를 깨끗이 닦아내거나 물로 씻어냅니다. 재감염을 막기 위해 증상이 없는 가족들도 반드시 동시에 치료해야 합니다. -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은 치료 24시간 이내에 소양증이 경감됩니다. 소양증이 심한 경우 국소적으로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할 수 있고,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.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발생하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
- 경과
- 옴 치료 약물 사용에 대한 의사의 지시를 따른다면 예후는 아주 좋습니다. 대부분의 경우 옴 진드기는 곧 없어지지만, 가려움은 몇 주 동안 계속될 수 있습니다. 가려움증이 심하다고 하여 피부를 긁으면 이차 감염 및 습진화 현상, 또는 태선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 
- 주의사항
- 옴 벌레나 알이 피부, 잠옷, 침구 등에 붙어 있기 때문에, 감염자가 2일 이내에 사용한 침구, 옷 등은 뜨거운 물에 세탁하거나, 햇볕에 말리거나, 살충제를 뿌려서 알까지 모두 죽여버리는 것이 좋습니다. 성 파트너는 물론이고 가족도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.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옴이 치료될 때까지 성관계는 물론 단순한 접촉도 삼가야 합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